-
자기자본비율 경제 용어 (5): 만기수익률,카테고리 없음 2022. 1. 23. 04:28
돈의 속성 책에 나와 있는 96개 경제 용어를 공부하고 정리 중이다.회색으로 표시한 것은 과거의 글을 통해 완료!오늘은 아래에서 색칠한 비율에 대한 용어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이 중 1. 만기수익률과 2. 예대율은 은행상품과 관련이 있고 3. 부채비율, 4. 자기자본비율은 기업운영과 관련이 있으며 5. 조세부담률은 국가조세량과 관련이 있다.고용률은 나중에 국가경제지표와 관련해, 주가수익률(PER)은 주가평가 관련으로 묶어 조사한다.
가산 금리, 경기 동향 지수, 경상 수지 고용률, 고정 금리, 고통 지수, 고른 락스 경제 공공재 공급 탄력성, 공매도, 국가 신용 등급, 국채, 금본위제, 금산 분리 기업 공개 기준 금리, 기축 통화, 기회 비용, 낙수 효과, 스톡·뱅크·증권 시장 대외 의존도, 대체재, 더블딥, 딥 링, 디플레이션 즈, 메바렛지 효과, 만기 인수권부 사채(BM)실질 임금 애그플레이션, 양도성 예금 증서, 양적 완화 정책, 어음 관리 계좌(CMA)연방 준비 제도(FRS)/연방 준비 은행(FRB)엥겔 법칙에 역모 기지, 예대율, 옵션, 외환 보유액, 워크 아웃, 원금의 위험, 유동성, 이중 외환 채권, 자기 자본 비율, 자발적 실업, 장기 금리 금리 금리 차이, 장외 시장, 전환 사채, ld To Maturity, YTM:보유 기간이 만료하는 경우의 채권수익률.네이버 지식백과
출처 : eduCBA
대부분 적금상품을 한 번쯤 들어봤을 것이므로 만기수익률은 아마 거의 모를 것이다.말 그대로 만기까지 유지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약정 수익률을 말하며, 보통 수익률은 연간 수익률로 나타낸다.2. 예대율(Loan-Deposit Ratio, LDR) : 은행의 예금잔액에 대한 대출금 잔액의 비율.네이버 지식백과 일반적으로 백분율로 표시하며 은행 경영에 대한 중요한 지표다.예대율이 중요한 이유는 소비자들의 예금 지급 요구에 대해 얼마나 대응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서이다.일반적으로 80% 정도 선에서 유지하는 것이 건전하다고 하며, 한국은 시중은행의 예대율이 높은 편이라고 한다.3.부채비율(Debtratio) : 기업이 가진 자산 중 부채가 어느 정도를 차지하는지 나타내는 비율.네이버 지식백과
출처 : eduCBA
부채비율은 기업 재무구조에서 타인자본 의존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경영지표로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부채비율 = [타인자본(부채총계) / 자기자본(자본총계)] *100(%) 이 지표는 기업의 경영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지표가 되지만, 선진국에서는 이 비율이 200% 이하면 재무구조가 우량하다고 평가한다.4. 자기자본비율(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capital ratio): 총자산 대비 자기자본의 비율.네이버 지식백과, 1997년 IMF 당시 일반화된 용어로 앞선 부채비율과 함께 기업의 자본건전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다.이 자기자본비율이 너무 낮으면 위기상황에 대처할 능력이 줄어든다고 생각된다.통상 은행은 4%, 상호저축은행 및 할부금융사는 8%, 일반 기업은 50% 이상이면 건전하다고 평가한다.5. 조세부담률(Ratio amount of taxes) : 한 국가의 국민총생산 또는 국민소득 대비 조세총액의 비율.네이버 지식백과
출처 : KOSIS
조세부담률은 한 국가에 대한 재정의 상대적 규모를 제시하는 지표가 되며 국민총생산(GNP) 기준일 때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조세부담률=(조세총액/GNP)*100 일반적으로 개발도상국에 비해 국민소득 수준이 높은 선진국에서 이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